start
Differences
This shows you the differences between two versions of the page.
Both sides previous revisionPrevious revisionNext revision | Previous revision | ||
start [2015/01/17 02:26] – donghee | start [2021/09/28 09:15] (current) – donghee | ||
---|---|---|---|
Line 1: | Line 1: | ||
- | ||[[ISBN(8989722004, | + | ====== 박동희 위키 ====== |
- | + | ||
- | + | ||
- | ==== ▼' | + | |
- | + | ||
- | 사람들이 통상 읽어야만 할 의무감으로 떠올리는 독서물은 어떤 종류일 | + | |
- | 까. 혹시 학교시절 귀에 못이 | + | |
- | 서도 특히 문학 작품류는 아닐까. 그런데 그게 꼭 필요한 책일까. 책이 읽 | + | |
- | 히지 않는 풍토를 개탄만 할 게 아니라 책읽기의 의미와 대상, 방법 모두 | + | |
- | 를 다시 생각해 볼 필요는 없을까. | + | |
- | + | ||
- | + | ||
- | ‘[" | + | |
- | 을 토대로 원점에서 새롭게 생각해 본 독서론, 독서술에 관한 책이다. 내 | + | |
- | 용에 앞서 저자 자체가 흥미롭고 괴이한 연구대상의 인물이다. 40여권의 | + | |
- | 저서를 낸 자유 저술가로서 다나카 전 일본 총리나 공산당에 대한 연구서 | + | |
- | 를 내는가 하면 생태학, 뇌과학, 현대음악, | + | |
- | 교, 인터넷, 우주, 분자생물학, | + | |
- | 이 나온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의 책을 쓰는 사이비를 연상하기 쉽겠지만 그런 인물이 결코 아니다. 책안 | + | |
- | 에도 ‘나의 서재, 작업실’ 편에 재미있게 소개되어 있는데, 약 3만5000 | + | |
- | 권을 실제로 섭렵한 자료도서를 4층짜리 별도 빌딩(일명 고양이 빌딩)에 | + | |
- | 보관해 놓을 만큼 엄청난 독서가에 알아주는 논객이다. 한 분야에 대한 글 | + | |
- | 을 쓸 때 보통 5백권 이상의 전문서를 읽는다는데 바보들만 살 리가 없는 | + | |
- | 일본 사회에서 그가 받는 관심과 존경의 무게를 생각하면 신뢰해도 될만 | + | |
- | 한 인물이라는 얘기다. | + | |
- | + | ||
- | + | ||
- | ‘오토마톤’이라는 정보과학 이론을 | + | |
- | 가 내면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한 첫장 내용은 서둘러 지나쳐도 좋 | + | |
- | 다. 별로 들어보지 못했던 얘기는 다음 장 ‘나의 독서론’에서부터 줄줄 | + | |
- | 이 나온다. | + | |
- | + | ||
- | + | ||
- | 먼저, [" | + | |
- | [" | + | |
- | 다. 전문 연구자 외에는 읽을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물론 최근 몇 십년 | + | |
- | 내외의 명저도 찾아 읽는 수고를 할 필요가 없다. 그의 관심은 날마다 쏟 | + | |
- | 아져 나오는 ‘신간 전문서’에 있다. 현재 진행 중인 최첨단 일에 대한 | + | |
- | 흥미, 거기에 인류가 이룩한 지식의 총체가 담겨있다고 주장한다. | + | |
- | + | ||
- | + | ||
- | 그렇다면 어떤 책을 어떻게 사서 어떻게 읽을 것인가. 실용편이다. 먼저 | + | |
- | 서점에 갈 때 필요한 것보다 훨씬 많은 돈을 준비한다. 반드시 여러 군데 | + | |
- | 서점을 순례하고 분야별로 관점이 다른 책 여러 권을 한꺼번에 산다. 산 | + | |
- | 책은 책꽂이에 꽂지 말고 책상 | + | |
- | 읽을 때 메모는 하지 않는다. 조금 읽어보다 시시한 책은 내던진다 등등. | + | |
- | + | ||
- | + | ||
- | 왜 이런 식의 권고를 하는지 저자의 상세한 설명을 옮기는 것은 무리다. | + | |
- | 하여간 독서로 일가를 이룬 인물의 체험담을 통해 우리가 평소 지녀왔던 | + | |
- | 책과 독서에 대한 엄숙주의가 꽤나 흔들리는 경험을 하게 된다. | + | |
- | + | ||
- | + | ||
- | 흥미도 구체적인 쓸모도 없는 책을 아무리 읽으라고 캠페인해도 소 귀에 | + | |
- | 경읽기일 뿐. 다치바나의 용어를 빌리자면 ‘목적으로서의 독서’, 즉 즐 | + | |
- | 거움과 교양을 위해 책을 읽는 시대는 지났는지 모른다. 그렇다면 다시 처 | + | |
- | 음이다. 왜, 어떤 책을 읽어야 하는가. 다치바나를 읽으면 상당한 이유와 | + | |
- | 방법을 찾을 수 있다. 이언숙 옮김, 원제 ‘ぽくはこんな本を讀んできた’ | + | |
- | (文藝春秋·1995년) | + | |
- | + | ||
- | + | ||
- | 김갑수(시인·출판평론가) | + | |
- | + | ||
- | ''' | + | |
- | ▼다치바나가 제안하는 독서법▼ | + | |
- | + | ||
- | 1. 책을 사는 데 돈을 아끼지 말라 | + | |
- | + | ||
- | 2. 같은 테마의 책을 여러 권 찾아 읽어라 | + | |
- | + | ||
- | 3. 책 선택의 실패를 두려워하지 말라 | + | |
- | + | ||
- | 4. 수준에 맞지 않으면 무리해서 읽지 말라 | + | |
- | + | ||
- | 5. 중도에 그만둔 책이라도 일단 끝까지 훑어보라 | + | |
- | + | ||
- | 6. 속독법을 몸에 익혀라 | + | |
- | + | ||
- | 7. 읽는 도중에 메모하지 말라 | + | |
- | + | ||
- | 8. 책 안내서에 현혹되지 말라 | + | |
- | + | ||
- | 9. 주석을 빠뜨리지 말고 읽어라 | + | |
- | + | ||
- | 10. 읽으면서 끊임없이 의심하라 | + | |
- | + | ||
- | 11. 새로운 정보는 꼼꼼히 체크하라 | + | |
- | + | ||
- | 12. 의문이 생기면 원본 자료로 확인하라 | + | |
- | + | ||
- | 13. 번역서가 난해하다면 오역을 의심하라 | + | |
- | + | ||
- | 14. 대학에서 얻은 지식은 별 것 아니다 | + | |
- | ''' | + | |
- | + | ||
- | - 여하튼 젊을 때 많이 읽어라 | + | |
+ | [[박동희]] 아이디어를 키우는 위키 입니다. | ||
+ | 망각을 보조하는 정보 저장소 | ||
+ | |||
+ | {{url> | ||
+ | https:// |
start.1421461586.txt.gz · Last modified: 2018/07/18 14:09 (external ed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