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ofcontents
Differences
This shows you the differences between two versions of the page.
Next revision | Previous revision | ||
tableofcontents [2015/01/17 02:25] – created donghee | tableofcontents [2018/07/18 14:10] (current) – external edit 127.0.0.1 | ||
---|---|---|---|
Line 1: | Line 1: | ||
+ | 차례 표시 매크로 | ||
+ | |||
+ | 이 매크로가 있는 지점에 해당 페이지의 헤드라인(HelpOnHeadlines)만을 추출한 차례를 표시한다. 이 때 각각의 항목은 페이지내의 헤드라인으로 링크가 된다. | ||
+ | ---- | ||
[[TableOfContents]] | [[TableOfContents]] | ||
+ | ---- | ||
- | ===== 인지 심리학의 기억 과정과 지식 ===== | + | ==== 사용법 ==== |
- | 교육을 접하면서, | + | '' |
- | + | ||
- | 그럼 사고의 구조에 대해서 보자. | + | |
- | + | ||
- | ==== 기억의 구조와 기능 ==== | + | |
- | 인간의 두뇌는 여러가지 상징 체계(정보)를 바탕에 조작을 하여 작동한다. | + | |
- | + | ||
- | ==== 기억의 기본 구조 ==== | + | |
- | 심리적 표상 : 일상적 경험을 이해하고, | + | |
- | * 감각기억 : 외부환경이 두뇌에 들어갈때, | + | |
- | * 작동기억 : 용량작고 빠른속도(10~20초) 로 망각, 순간의식 | + | |
- | * 장기기억 : 작동기억에서 처리된 정보와 가능 장기간으로 저장. | + | |
- | + | ||
- | * ''' | + | |
- | ==== 작동기억 ==== | + | |
- | 정보의 처리 용량이 작다. 일시적 기억 (예 문장 기억하기, | + | |
- | '' | + | |
- | + | ||
- | 기능습득의 초기단계에서 기능 수행은 작동 기억에 많은 부담을 준다. 그러나 점차 전문가(기능의 자동화를 이룸)가 됨에 따라서 그러한 부담은 없어진다. | + | |
- | + | ||
- | 작동기억 처리의 개인차가 있더라도 정보결집과, | + | |
- | '' | + | |
- | + | ||
- | 전문가가 될려면 최소한 10년이상의 시간이 필요하다.(단순히 작동기억이 뛰어난 것 은 별 의미를 지니지 못한다.) | + | |
- | ==== 장기기억 ==== | + | |
- | 작동기억을 통해 얻은 정보를 저장한다(long-term) | + | |
- | '' | + | |
- | + | ||
- | 장기기억에 저장된 정보는 외적 또는 내적 자극을 통해 활성화 되고, 그러면 작동기억으로 전환 된다. | + | |
- | + | ||
- | * 선언적 지식(knowing that) : 무엇이 어떻다는 사실을 아는것. (빠르게 익힌다.) | + | |
- | * 정보를 그대로 인출 사용하는 지식 (ex 구구단) | + | |
- | * 절차적 지식(knowing how) : 무엇을 어떻게 할 줄 아는 것이다. ( 배우는데 시간이 걸림) | + | |
- | * 정보를 변형 시키는 지식 (ex 숫자 계산) | + | |
- | * 테니스 선수의 포어핸드스트로크(수많은 과정이 녹아 있다.). 무술(몸공부) -> 선언적 지식에 비해 접근속도가 빠르다.(전문가가 된다는것) | + | |
- | '' | + | |
- | + | ||
- | 선언적 지식과 절차적 지식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고, 선언적 지식은 절차적 지식의 필수 요소(scheme)다 | + | |
- | + | ||
- | ==== 지식의 표상에 관한 이론 ==== | + | |
- | 선언적 지식과 절차적 지식이 우리 머리속에 어떠한 형태로 저장 되고, 어떻게 작용하는가? | + | |
- | + | ||
- | ==== 단위기능 이론 ==== | + | |
- | ''' | + | |
- | ''' | + | |
- | * 명제망은 명제 연결 사이에서 작동기억(순간기억)이 활성화 되는 횟수에따라 긴밀히 연결 된다. -> 더 잘 기억한다. | + | |
- | + | ||
- | ''' | + | |
- | * 조건 과 행동의 연합 | + | |
- | * 인간의 인지활동 : 작동기억의 내용에 따라 단위기능이 촉발되는 일련의 연속 과정. | + | |
- | * 장기기억의 정보을 어떤 조건에 따라 기억에 촉발 한다.[ | + | |
- | + | ||
- | ==== 연결주의 이론 ==== | + | |
- | 단위기능의 습득과 형성과정(단위의 합성) | + | |
- | + | ||
- | 낮은수준의 행동들의 학습과 기억도 중요하다라는 입장을 가지고 출발한 이론이지만, | + | |
- | + | ||
- | 인간의 두뇌는 기본적인 정보처리 ''' | + | |
- | + | ||
- | ''' | + | |
- | ||입력단자 - || - 숨은단자 - ||- 출력단자 || | + | |
- | ||활성화 에너지를 받아들임 || 활성화 에너지 조절 || 활성화 에너지 외부로 보냄|| | + | |
- | '' | + | |
- | + | ||
- | ''' | + | |
- | * 병렬처리 분산 모형(PDP) | + | |
- | * 중복 표상 : 하나의 지식 또는 개념은 여러개의 단자로 분산되어 나타낸다. 그래서 지식개념(단자)홀로 있는게 아니라 단자간의 상호 연결 강도에 따라 다수의 지식과 연관이 지어진다. | + | |
- | * 지식, | + | |
- | * 형태완성기능 | + | |
- | * 형태의 일부만 입력 되어도 조직망을 재 구성한다. | + | |
- | * 지식의 조직이 일부 손상되어도 전체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우아한 퇴화) | + | |
- | * 단위기능에서 이야기 하는 장기기억, | + | |
- | + | ||
- | ==== 인지도식 이론 ==== | + | |
- | 단위기능 이론의 명제망은 ''' | + | |
- | + | ||
- | 인지도식은 속성구조에 의해 지식을 조직한다( 예) 속성 : 값) | + | |
- | | + | |
- | + | ||
- | * 인지도식은 학습과 기억에 영향을 많이 미친다. | + | |
- | * 도둑의 인지도식과, | + | |
- | * 동일한 경험을 하더라도 다른의미를 보게 되기 때문에 효율적인 교육을 위해서는 학생 각자의 생각을 존중해주어야 한다 | + | |
- | * 읽기 교육에서의 사례 (잘 구성된 읽을거리와, | + | |
- | '' | + | |
- | + | ||
- | ==== 선언적 지식의 학습 ==== | + | |
- | 선언적 지식의 주요한 학습원리와 학습 전략. | + | |
- | + | ||
- | ==== 시연 ==== | + | |
- | 내용을 기억하고자 할 때 그것을 단순히 반복을 해본다. (ex 전화번호 외우기) | + | |
- | '' | + | |
- | | + | |
- | + | ||
- | ==== 조직화 ==== | + | |
- | 내용을 기억하고자 할 때 여러개의 범주로 나누어 재조직 하는것이다. | + | |
- | | + | |
- | ==== 정교화 | + | ==== 사용 맥락 |
- | 내용을 기억하고자 할 때 다른 | + | 페이지가 길어져서 [문서구조조정]시 몇개의 헤드라인이 한 페이지 안에 생긴경우, |
- | " | + | |
- | -> 정보량이 많을 수록 기억을 잘한다. | + | |
- | 정교화전략 | + | ==== 예제 ==== |
- | | + | 위의 사용법 위에 '' |
- | * 언어적 정교화 | + | |
- | ===== 정리 지도 ===== | + | ==== 더 작은 예제 |
- | -_-좀잇다 집에가서 그리자! | + | 비중이 더 작은 항목의 헤드라인은 이렇게 표시가 된다. |
+ | ---- | ||
+ | [매크로분류] | ||
tableofcontents.1421461547.txt.gz · Last modified: 2018/07/18 14:09 (external ed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