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notatedBibliography An annotated bibliography is a list of citations to books, articles, and documents. Each citation is followed by a brief (usually about 150 words) descriptive and evaluative paragraph, the annotation. The purpose of the annotation is to inform the reader of the relevance, accuracy, and quality of the sources cited. Annotated bibliographies are useful for: * Active Reading: Annotations make you think carefully about what you are reading: can you sum up an article or a book in a few sentences and state why the source is or isn’t useful to your project? * Keeping Track: Annotations can form the basis of a research bibliography for a large project, tracking what you’ve been reading, which sources you’ve found useful and why. * Developing Your Ideas: Annotations can help you focus your own ideas on a subject through critically analyzing and articulating your ideas about other treatments of the subject. * Surveying the Field: Annotations give an overview of a subject for your reader, showing the range of ideas, viewpoints, what has been “done” on this topic so far, and revealing what has not yet been examined in the literature. 패턴 요약: 평가: 유용한지 평가 /10 Reflect: 내가 쓸 논문 또는 연구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 ---- * Education Human computing skills: rethinking the K-12 experience. Communications of the ACM (2009) vol. 52 (2) 요약: 이 글은 CACM에 실린 글로 K-12 기간 동안 아이들이 컴퓨터에 대한 경험이 필요하다고 이야기 한다. 그이유로는 저자는 컴퓨터에 대한 이해(Computational Thinking)가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데 중요하다고 이야기 하지만, 대학의 컴퓨터 과학 등록이 감소하고 있고, Computational Thinking을 대학의 CS1코스에 넣을 수 없으며, CS1코스에서 프로그래밍 언어를 경험하기전에 Computational Thinking을 경험하는것이 필요하다고 이야기 하고 있다. 그 경험을 위해서, K-12의 수준에 맞는 Computational Thinking 을 익힐 수 있는 시나리오를 재시하고 있다. 평가: 5/10 프로그래밍을 경험하기전에 Computational Thinking을 익힐 수 있는 컴퓨터를 사용하지 않는 언어를 권고 하는데, 컴퓨터를 안쓰는 이유가 뚜렷하지 않다. 그리고 CS에서 프로그래밍을 수학에서의 증명이나 영어에서의 literacy analysis 와 동급으로 보는데, 쉽게 수긍이 가지 않는다. 컴퓨터 코스를 듣기전에 Computational Thinking을 준비해야만 한다고 하는데 사실 Computational Thinking은 프로그래밍없이 익히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Reflect: 이 논문을 CS1코스에서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에게 수업 이전에 도움이 되는 활동을 노출 시킬 필요가 있다는 주장을 할 때 인용할 수 있겠다. 그리고 컴퓨터 교육 분야에서 Computational Thinking이 범용적 단어가 됐음을 알았다. CS 등록비율: http://nces.ed.gov/programs/digest/d06/figures/fig_15.asp Jeannette Wing's Computational Thinking Three Rs: reading, writing, arrithmetic ---- * Computer Science: A language of Technology 요약: 저자는 컴퓨터 과학(CS)가 주는 대중적인 이미지가 부적절하여, CS를 전공하려는 사람들이 줄어 들고 최근 Computer Science 가 자연 과학의 언어로 분류되었다. (어디서?) 컴퓨터 과학은 과학의 한 패러다임으로써, 기술의 언어로 이야기 된다. 이 기술의 언어는 구조와, 과정, 관계, 커뮤니케이션을 기술 한다. 저자들은 컴퓨터 과학이 과학 기술적 리터러시를 얻기위한 필수 언어가 되는데 확장을 할 것이라 믿는다. 컴퓨터 과학의 역할 - 현대의 진보된 기술을 이해하고 사용하는데 필수적인 - 다른 과목을 잘 이해하기 위한 - 문제 해결을 위한 높은 수준의 언어로써? 대중이 가지고 있는 컴퓨터 과학의 이미지는 뭘까? 이 분야의 복잡함은 부적절한 이미지와 동기화 시키는데 어려움을 겪에 한다. 대학뿐만아니라 산업에서도 떨어졌다고 하네(레퍼런스) 그 이유는? - 컴퓨터 중요성에 대한 이해 부족 - One can major in computer science and do anything 정말(?) 어떻게 하면 컴퓨터 과학에 대해 단순하고도 매력적인 설명을 할 수 있을까? 컴퓨테 과학에 대한 여러가지 설명이 있다. 알고리즘은 컴퓨터 과학의 메인 이슈. Problem-solving skills VS core technologies and applications 이 둘을 포함하는 건 없나? 고민끝에 language of technolgy라고 부름. 2.3 A Language of What? 알고리즘은 19세기에 나온것이고, 2.3.1 왜 컴퓨터 과학이 기술을 서술하는 언어인가? 기술의 정으로 부터 시작했군! - 기술은 지능을 가진 사람이 가진 실질적인 문제를 풀기 위해 사용된다. 기술의 롤: doing, making, implementing things 컴퓨터 과학에 대한 이러한 설명은 새로운 사람들에게 더 매력적으로 다가올 것이다. --2009-03-02 ---- * SPATIAL ABILITY AND LEARNING TO PROGRAM 공간 능력과 프로그래밍 학습 능력 Sue Jones 이 논문은 프로그래밍의 성취와 관련된 중요한 요소로 공간지각 능력에 대한 실험을 하고 있다. 프로그래밍 수업에서의 성공과 Mental rotation ability(MR test)가 0.48의 상관 관계가 있다. 저자는 프로그래밍과 관련 없는 수업과 비교하였고, 프로그래밍과 관련 없는 수업에서는 MR Test와 성취와의 상관 크지 않았다. OO수업에서는 더 깊은 관계가 있다. 0.68 호오.. 프로그래밍 소개 코스에서는 30%의 학생들이 수업을 마치는데 실패한다. Spatial ability 는 실제 세계에서 중요하다. 하이퍼 테스팅. While they found a high correlation for the men (r = 0.63, p = .012), this was not reflected in the women’s results. 프로그래밍을 이해하는데 좋은 멘탈모델의 중요성에 대해서 강조하였다. programming aptitude의 측정이 뭐지? map-drawing styles와 프로그래밍 소개를 예상하는 predictor? having a good mental model 이 뭐지? 공간에 대한 맵인가? 재밌는 부분: 어쩌면 성별차가 아니라. 공간지각력에 대한 차이가 성과차이를 나타 낼지도 모른다. mental rotation ability was statically adjusted for, the gender difference in mathematics achievement was eliminated in most of the groups studied. 성공적으로 프로그래밍을 할려면? 프로그래밍만 하면 다인가? 우선? Automation of Abtractions 기술의 언어 좋은 멘탈 맵을 가지게 하는게 목표인가? 추후 연구 1. 여성들 샘플로도 이 실험이 의미가 있는가? 2. 그리고 공간 spatial training intervention also need to be assessed. 이 얼마나 프로그래밍능력을 향상시키는지 알아 보아야 할것이다. --2009-03-03 ---- *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2009, March 3). Public Schools Outperform Private Schools in Math Instruction. ScienceDaily. Retrieved March 4, 2009, from http://www.sciencedaily.com­ /releases/2009/02/090226093423.htm 요약: 저자는 이전 연구에서 통계적으로 요인을 holding 했을때 사립학교가 공립학교에 비해 수학 성취도가 낮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 논문에서 어떤 요인 때문에 사립학교가 공립학교 보다 수학 성취도가 낮은지 찾는다. 저자가 27만명의 샘플에서 조사하였고, 요인으로 학교의 크기(School size) 와 Class size, Parental involvement, teacher certification, instructional practices 을 골랐다. 저자가 발견한 공립학교의 수학성취도와 관련있는 요인은 Certified math teachers 와 modern, reform-oriented math curriculum 이었다. 저자는 이 요인은 공립학교 수학성취의 직접적인 원인이라기 보다는 아마도 결과라고 이야기 한다. 평가: 유용한지 평가. 8/10 이 논문은 대규모 데이터(27만명)를 기반으로 수학에 대한 주입식 공부보다 "geometry, measurement and algebra'를 강조하는 modern math가 더 효과적이라고 이야기한다. 이 부분은 새로운 수학이 성취도와 관련하여 효과가 있음을 뒷받침할 수 있다는 면에서 유용하다. 그리고 학교에서 선생님에게 투자를 하는것이 학생들의 성취도와 관련이 있다는 근거가 되어 준다. Reflect: 내가 쓸 논문 또는 연구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 수학 관련 논문을 쓸려고 본 것은 아니다. 우리 나라의 교육부에서 공개한 통계자료로 교육 성취도의 요인 분석을 할때 도움이 될 듯 하다. 우리나라에도 이러한 요인들이 학생들의 성취도와 관련된 중요한 요인할까? 중요하다면, 교육 정책을 결정할때 근거 자료로 쓸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자립형 사립고가 마냥 좋은것만은 아니라는 생각도 들고.. --2009-03-04 ---- 6.2.2 Reasons to Program Several systems have tried to provide motivating contexts such as building robots, fighting battles, and constructing machines in which to learn programming. While these systems have been very effective for a segment of the population, they do not have broad appeal. What programming activities can we provide that will interest girls or artistic or musical students? Future systems might provide contexts for programming that are relevant to under-represented groups in computer science. --켈러한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