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Julie Schell 번역: Youngjin Seo
동료교수법(Peer Instruction) 동안 학생들은 개인적으로 또는 동료 학생과 짝을 이루어 개념검사문제(Concept Tests)를 다루게 된다. 동료교수법을 원활하게 진행하기 위해서 교수자는 개념검사문제에 대한 학생들의 응답을 파악해야 하는데, 학생들의 응답을 수집할 수 있는 다양한 도구들이 존재한다. 고전적으로 학생들이 손가락이나 종이카드로 자신의 응답을 표시하게 할 수 있고, 첨단기술을 사용한 원격조작기나 인터넷 기반 여론 조사 도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어떠한 도구를 사용하여도 동료교수법의 효과를 볼 수 있으며, Eric 교수는 “중요한 것은 기술이 아니라 교수방법이다.”라고 강조하였다.
A. 고전적인 도구
B. 첨단 기술을 사용한 도구
동료교수법은 어떠한 주제나 개념에도 사용할 수 있다. 가장 효과적인 문제는 해당 주제나 과목을 심도 있게 이해하는데 핵심적인 개념으로 학생들에게 까다롭고, 어렵거나 또는 잘못 이해되기 쉬운 개념에 대한 것이다. 이 지침서에는 하나의 개념이나 생각을 다루는 수업을 가정하고 동료교수법을 실행할 수 있도록 안내하였다.
학생들이 수업 중 동료교수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사전 과제 활동을 부여한다.
A. 학생들이 수업에서 다룰 개념이나 생각에 대한 도서, 녹화자료 혹은 활동 등을 예습하도록 과제를 부여한다. 필요한 경우, 학생들이 볼 수 있도록 교수자가 직접 강의를 녹화하여 탑재할 수 있다.
B. 활동을 충실히 하였는지 확인하는 질문을 제시하고 학생들에게 응답하도록 한다: 학생들에게 ⅰ) 주어진 활동을 충실히 했다면 답을 할 수 있는 개념에 기초한 질문 한 두 개와 ⅱ) 읽거나 본 내용 중에서 가장 혼돈스럽거나 어려운 내용에 대한 응답을 요구한다. 이 때, 학생들이 과제를 대충해도 대답할 수 있는 질문들은 확실히 피한다.
C. 학생들의 응답을 분석하여 오개념을 파악한다. 사전 과제 활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즉시 대응 수업전략(Just-in-Time Teaching)을 사용한다.
동료교수법을 수업에서 활용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문제가 필요하다. 사전 과제활동의 응답에서 나타난 학생들의 오개념, 잘못된 이해 또는 어려움을 좀 더 드러나게 하거나 직면하게 하며, 해결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문제를 선택한다.
A. 이미 개발된 문제를 활용한다.
B. 자신의 고유한 문제를 개발하여 사용한다. – 문제를 개발하는 것과 관련하여 도움이 필요한 경우에는 아래 에서 제시한 점검사항을 활용할 수 있다. 아래의 점검 사항은 깊이 있는 개념 이해를 효과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문제 개발에 도움을 줄 것이다.
문제 개발 과정에서는 1단계에서 선택한 개념에 유념하며 다음 사항들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점검한다.
각각의 개념, 생각 또는 주제에 대해서:
A.상황을 설정한다.
도움말: 예비 활동 또는 학생들의 집중 여부를 확인하는 목적이 아니라면, 강의 중에 답을 제시하지 말아라. 가장 바람직한 개념 검사 문제는 학생들이 학습한 지식을 새롭고 다른 맥락에 적용해야만 하는 지식전이가 필요한 것이다.
B.문제를 제시한다.
C.정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