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sibleLearning 스터디 기록
범위: Chapter 7. The contributions from the teacher.
요약과 질문
1. 어떤 기준으로 Best teacher를 구분할까?
학생들에게 좋은 선생님을 물으면? Location 3762.
선생과 학생의 Relationship. Baltern & Girling-Butcher (1981)
학교의 차이보다 학교 안에서의 차이가(선생님의 차이) 크다
Q Best teacher와 그렇지 않은 teacher 그룹간의 학생의 수학성적 차이는 큰편. 독해는 그룹간의 성적 차이가 적은편. 어떤점을 시사할까?
2. 과목에대한 지식 (Subject matter knowledge) 가 중요하나?
Q. 우리나라의 교사 분포는 어떨까? 분포에서 오는 영향이 있나? 교육통계 사이트나 kriss 사이트에 있을려나? 수능 데이터가 공개 되어 있을려나?
3. Teaching practice 의 중요함
이론이나 스킬이 teaching practice 향상에 큰영향을 주지 않는다. Kennedy (1997)
Apprentiseship of Observation. Dan Lortie 2002
4년제 교사양상은 의미가 없나? Qu and Becker (2003)
초기에는 차이가 없음 4년재 d=0.01 emergency d=0.14
나중에 차이가 생김. 몇년후 4년제는 d=0.39
4년제 나온 교사가 성과가 좋다. Spark (2004)
Q. 4년제 교육을 통한 교사그룹과 Emergency(?) 교사 그룹의 차이의 요인은?
Microteaching
Teacher subject matter knowledge
과학 교사의 특성 메타 분석. Druva. Anderson (1983)
number of education courses taken
student teaching grade
number of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Verbal ability이 중요하다
Q. Visible learning 책에서 강조하는 teaching skill은 뭘지?. Location 4045. Hanushek (1989)
교사 교육에 inter-personal teaching trainning이 필요하다.
self-attitude는 선생님의 경험이 늘면서 감소한다. 교외보다 도시에서 더 심하다. Location 4050. Colosimo (194)
Quality of teaching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Building relations with students implies agency, efficacy, respect by the teacher for what the child brings to the class and allowing the experiences of the child to be recognized in the classroom.
Developing relationships requires skill by the teacher– such as the skills of listening, empathy, caring, and having positive regard for others. 이펙트 사이즈 0.72. 학교에서 가르칠 필요가 있겠다.
Professional development
Expectations
Do they have false and is misleading expectations that lead to decrements in learning or learning gains – and for which students?
선생님의 학생에 대한 기대는 효과가 크다. Location 4220.
그룹에 따라 효과가 다르다. disempowerment(부정적 영향인가?) (그룹: girl, minorities, students sitting at the back of the room) Location 4218.
참고
김창준
Chapter x
Problem-based learning effect size d=0.15
지식을 배우는것보다 지식을 적용할때 효과 적이다.
학습태도가 좋아진다.
PBL은 다른 용인과의 상호작용이 있다.
성적이 좋은 아이들은 PBL은 효과적임.
자기탓 하는 사람은 PBL 하면 효과적, 남탓 하는 사람은 PBL하는게 효과적이지 않음
과목 특성
Problem-solving teaching
Problem-solving teaching과 PBL을 둘이 같이 버무리면 효과가 좋을듯.
Reciprocal teaching
선생과 학생의 역할을 바꿀 수 있다.
아이들에게 시험 문제 내도록 한다. 아이들의 reading comprehension 높이는데 효과적. 구조를 이해할 수 있는 방법.
최승준
Chapter 3
A model of learning
승준님 수업 경험
생활속의 프로그래밍?
재명
Chapter 5
Chapter 6: The contributions from the school
아이들이 새로운 학교로 가서 한달안에 친구관계를 좋게 가지는냐가 중요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