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201306
Differences
This shows you the differences between two versions of the page.
Both sides previous revisionPrevious revisionNext revision | Previous revision | ||
journal:201306 [2013/06/30 05:10] – 183.102.107.59 | journal:201306 [2018/07/18 14:10] (current) – external edit 127.0.0.1 | ||
---|---|---|---|
Line 82: | Line 82: | ||
16p 값과 객체 | 16p 값과 객체 | ||
- | # | + | |
- | 시스템을 설계할 때는 값과 객체를 구분하는 것이 중요하다. 여기서 값은 변하지 | + | 시스템을 설계할 때는 값과 객체를 구분하는 것이 중요하다. 여기서 값은 변하지 |
- | 않는 양이나 크기를 나타내며, | + | 않는 양이나 크기를 나타내며, |
- | 모르지만 식별자가 있는 계산절차를 나타낸다. | + | 모르지만 식별자가 있는 계산절차를 나타낸다. |
- | #+END_QUOTE | + | |
최대한 객체를 적게 만드는게 사이드 이펙트와 의존도를 줄이는 이라고 한다. | 최대한 객체를 적게 만드는게 사이드 이펙트와 의존도를 줄이는 이라고 한다. | ||
Line 106: | Line 105: | ||
메소드(내부적으로는 질문을 통해서 말하고 하는 답을 구하겠지만)를 쓴다. | 메소드(내부적으로는 질문을 통해서 말하고 하는 답을 구하겠지만)를 쓴다. | ||
- | #+BEGIN_SRC | + | < |
((EditSaveCustomizer) | ((EditSaveCustomizer) | ||
master.getModeliable().getDockablePanel().getCustomizer()).getSaveItem().setEnabled(Boolean.FALSE.booleanValue()); | master.getModeliable().getDockablePanel().getCustomizer()).getSaveItem().setEnabled(Boolean.FALSE.booleanValue()); | ||
Line 113: | Line 112: | ||
master.allowSavingOfCustomizations(); | master.allowSavingOfCustomizations(); | ||
// 를 쓰는게 낫다는 이야기 | // 를 쓰는게 낫다는 이야기 | ||
- | #+END_SRC | + | </ |
이거 컬렉션 쓸 때 체인으로 많이 부르는데, | 이거 컬렉션 쓸 때 체인으로 많이 부르는데, | ||
Line 120: | Line 119: | ||
또 많이 쓰는 패턴으로 컬렉션에서 filter 하는 예제도 알려주는군 | 또 많이 쓰는 패턴으로 컬렉션에서 filter 하는 예제도 알려주는군 | ||
- | #+BEGIN_SRC | + | < |
if (carriage.getSeates().getPercentReserved() < percentReservedBarrier) | if (carriage.getSeates().getPercentReserved() < percentReservedBarrier) | ||
- | #+END_SRC | + | </ |
보다는 | 보다는 | ||
- | #+BEGIN_SRC | + | |
+ | < | ||
if (carriage.hasSeatsAvailableWithin(percentReservedBarrier) | if (carriage.hasSeatsAvailableWithin(percentReservedBarrier) | ||
#+END_SRC | #+END_SRC | ||
- | 이게 낫다는 이야기 | + | </ |
그런데 내경우는 이런 경우 아래처럼 한번에 호출되도록 만들기는 하는데, 정확하게 | 그런데 내경우는 이런 경우 아래처럼 한번에 호출되도록 만들기는 하는데, 정확하게 | ||
Line 151: | Line 151: | ||
Law of Demeter가 뭐지? | Law of Demeter가 뭐지? | ||
- | # | + | |
- | More formally, the Law of Demeter for functions requires that a method M of an object O may only invoke the methods of the following kinds of objects: | + | 1. itself |
- | + | 2. M’s parameters | |
- | 1. itself | + | 3. any objects created/ |
- | 2. M’s parameters | + | 4. O’s direct component objects |
- | 3. any objects created/ | + | |
- | 4. O’s direct component objects | + | |
- | It is explained here | + | |
- | #+END_QUOTE | + | |
코드의 추상화 레벨을 여기 저기 뛰어 넘지 않고, 최대한 주변의 관련있는 친구들과 | 코드의 추상화 레벨을 여기 저기 뛰어 넘지 않고, 최대한 주변의 관련있는 친구들과 | ||
Line 165: | Line 162: | ||
요즘 산만한 나에게 필요한 법칙. 정리가 필요해. | 요즘 산만한 나에게 필요한 법칙. 정리가 필요해. | ||
- | |||
journal/201306.1372569018.txt.gz · Last modified: 2018/07/18 14:09 (external ed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