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er Tools

Site Tools


b1_b3_c0_b0_bd_c9_b8_ae_c7_d0_2freport1

TableOfContents

인지 심리학의 기억 과정과 지식

교육을 접하면서, 사람이 어떻게 사고하는지 사고 과정에 대한 이해가 있으면 좋다. 피아제, 비고츠키등의 인지발달이론과 형태주의 심리학(게스타체? 음 누구드라? 기차창)등에서 연구된 이론을 바탕으로, 그리고 언어학 신경과학, 컴퓨터 과학의 발달로 60년대 이후 정보처리 모형등의 사고에 관한 본격적인 연구가 시작 될 수 있었다.

그럼 사고의 구조에 대해서 보자.

기억의 구조와 기능

인간의 두뇌는 여러가지 상징 체계(정보)를 바탕에 조작을 하여 작동한다.

기억의 기본 구조

심리적 표상 : 일상적 경험을 이해하고, 처리하고, 저장하는 상징의 체계. 외부환경과 우리의 내적 정신세계를 연결 해준다.

  • 감각기억 : 외부환경이 두뇌에 들어갈때, 지속시간 1초. 선택에 따라 작동기억으로 들어감.
  • 작동기억 : 용량작고 빠른속도(10~20초) 로 망각, 순간의식
  • 장기기억 : 작동기억에서 처리된 정보와 가능 장기간으로 저장.
  • '선언적지식'과, '절차적 지식'으로 구분 된다.

작동기억

정보의 처리 용량이 작다. 일시적 기억 (예 문장 기억하기, 숫자 기억하기) cpu의 레지스터를 생각하면 된다

기능습득의 초기단계에서 기능 수행은 작동 기억에 많은 부담을 준다. 그러나 점차 전문가(기능의 자동화를 이룸)가 됨에 따라서 그러한 부담은 없어진다.

작동기억 처리의 개인차가 있더라도 정보결집과, 기능의 자동화를 통해서 극복이 가능하다. 그래서 교육에서는 작동기억 처리가 작은 개인에게 정보의 겹집과 기능의 자동화가 촉진 되도록, 다양한 상황, 다양한 시간, 다양한 목적을 가지고 정보와 기능을 쓰도록 기회를 주어야 한다. 작동 기억의 용량이 작은 아이의 경우 작동기억의 부담을 가능한 적게 하는 방향으로 교육을 구성해서, 교육에 대한 두려움을 없애 주어야 한다.

전문가가 될려면 최소한 10년이상의 시간이 필요하다.(단순히 작동기억이 뛰어난 것 은 별 의미를 지니지 못한다.)

장기기억

작동기억을 통해 얻은 정보를 저장한다(long-term) 컴퓨터의 보조 기억 장치 정도

장기기억에 저장된 정보는 외적 또는 내적 자극을 통해 활성화 되고, 그러면 작동기억으로 전환 된다.

  • 선언적 지식(knowing that) : 무엇이 어떻다는 사실을 아는것. (빠르게 익힌다.)
  • 정보를 그대로 인출 사용하는 지식 (ex 구구단)
  • 절차적 지식(knowing how) : 무엇을 어떻게 할 줄 아는 것이다. ( 배우는데 시간이 걸림)
  • 정보를 변형 시키는 지식 (ex 숫자 계산)
  • 테니스 선수의 포어핸드스트로크(수많은 과정이 녹아 있다.). 무술(몸공부) → 선언적 지식에 비해 접근속도가 빠르다.(전문가가 된다는것)

어떤것에 전문가가 된다는 것은 여유가 생기고, 그여유는 다른 변화를 위한 여유이다. 요기

선언적 지식과 절차적 지식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고, 선언적 지식은 절차적 지식의 필수 요소(scheme)다

지식의 표상에 관한 이론

선언적 지식과 절차적 지식이 우리 머리속에 어떠한 형태로 저장 되고, 어떻게 작용하는가?

단위기능 이론

'명제': 선언적 지식의 기본 단위 '명제망' : 명제들은 서로 공유하면서 망(network)를 이룬다.

  • 명제망은 명제 연결 사이에서 작동기억(순간기억)이 활성화 되는 횟수에따라 긴밀히 연결 된다. → 더 잘 기억한다.

'조건-행동'(production) : 절차적 지식의 기본 단위

  • 조건 과 행동의 연합
  • 인간의 인지활동 : 작동기억의 내용에 따라 단위기능이 촉발되는 일련의 연속 과정.
  • 장기기억의 정보을 어떤 조건에 따라 기억에 촉발 한다.[

연결주의 이론

단위기능의 습득과 형성과정(단위의 합성)

낮은수준의 행동들의 학습과 기억도 중요하다라는 입장을 가지고 출발한 이론이지만, 높은 수준의 행동을 이해하는 데도 효과적인 묘형이라고 입증되고 있다.

인간의 두뇌는 기본적인 정보처리 '단자(unit)'들과 그들 사이의 '연결선(links)'에 의해 이루어 져 있다고 가정

'단자(unit)' : 연결선(links)로 부터 오는 '활성화 에너지'를 합치거나 내보내는 일을 수행

입력단자 - - 숨은단자 - - 출력단자
활성화 에너지를 받아들임 활성화 에너지 조절 활성화 에너지 외부로 보냄

활성화 에너지는 지식간 상이의 강도 쯤 될려나? 뇌의 시냅스를 생각 하면 될듯..

'특징'

  • 병렬처리 분산 모형(PDP)
  • 중복 표상 : 하나의 지식 또는 개념은 여러개의 단자로 분산되어 나타낸다. 그래서 지식개념(단자)홀로 있는게 아니라 단자간의 상호 연결 강도에 따라 다수의 지식과 연관이 지어진다.
  • 지식,개념(단자)들의 세부적 인것 보다, 공통점(유형)으로 처리하여 기억하는데 효과적 이다.
  • 형태완성기능
  • 형태의 일부만 입력 되어도 조직망을 재 구성한다.
  • 지식의 조직이 일부 손상되어도 전체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우아한 퇴화)
  • 단위기능에서 이야기 하는 장기기억, 단기기억을 생각(가정) 하지 않는다.

인지도식 이론

단위기능 이론의 명제망은 '개별적인 지식'을 보여주는데 인지도식이론은 '범주화된 지식'을 나타내기 위해 적합한 모형이다.

인지도식은 속성구조에 의해 지식을 조직한다( 예) 속성 : 값) 그래서 인지도식은 특별한 사례보다는 일반적인 개념적 정보를 가지고 있다.

  • 인지도식은 학습과 기억에 영향을 많이 미친다.
  • 도둑의 인지도식과, 집을 사는 사람의 인지도식 다르기 때문에 서로 집을 기억하는 것이 달랐다.
  • 동일한 경험을 하더라도 다른의미를 보게 되기 때문에 효율적인 교육을 위해서는 학생 각자의 생각을 존중해주어야 한다 .
  • 읽기 교육에서의 사례 (잘 구성된 읽을거리와, 그렇지 못한 읽을거리의 학습양)

특이한점은 뛰어난 능력을 가진 사람은 잘 구성되지 못한것에서 더 많은 학습이 일어났다.

선언적 지식의 학습

선언적 지식의 주요한 학습원리와 학습 전략.

시연

내용을 기억하고자 할 때 그것을 단순히 반복을 해본다. (ex 전화번호 외우기) 반복시연은 어떤 내용을 기억하고자 할때 필수적이다. 시기에 따라 반복 시연의 발달이 다르다.

조직화

내용을 기억하고자 할 때 여러개의 범주로 나누어 재조직 하는것이다. 역시 시기에 따라 조직화의 발달이 다르다.

정교화

내용을 기억하고자 할 때 다른 정보를 첨가하여 내용을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다. (기계적 암기가 아니라 이해로서 암기) “왜?” 라는 질문이 기억을 촉진한다.( 다른 정보의 추가를 하는데 도움을 준다.) → 정보량이 많을 수록 기억을 잘한다. (정보가 쓰르륵 딸려온다. 고구마뿌리)

정교화전략

  • 시각적 정교화
  • 언어적 정교화

정리 지도

-_-좀잇다 집에가서 그리자!

b1_b3_c0_b0_bd_c9_b8_ae_c7_d0_2freport1.txt · Last modified: 2018/07/18 14:10 by 127.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