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er Tools

Site Tools


ba_d0_b7_f9_c6_d0_c5_cf

TableOfContents

분류패턴이란?

주제 분류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패턴으로, 화면 맨위의 제목을 누르면 이 페이지로 링크를 걸고 있는 페이지들을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이트운영자의법적책임]이란 페이지 밑에는 법률분류라는 링크가 달려 있다. 법률분류 페이지에서 제목을 누르면 [사이트운영자의법적책임]을 포함한 법률분류 링크가 달린 모든 페이지를 검색해서 보여준다. 이것이 [모인모인]의 [역링크] 기능을 사용한 [분류패턴]이다.

크게 hierarchy(계층)을 가지는 분류와 hierarchy가 없는 분류로 나누어 질 수 있다.

주제분류와 분류분류

주제분류는 hierarchy를 가지는 모든 분류의 가장 상위레벨로 한단계 아래의 분류만을 보여주며, 분류분류는 모든 분류의 상위 개념으로, 모든 분류 페이지들을 수평적으로 보여준다. 주제분류분류분류 중 어느 것이 상위개념이냐는 것은 아주 명확하고 분명하다. 당연히 분류분류가 상위이다. 그러므로 hyponym, hypernym의 순서를 지킨다면 주제분류 분류분류의 순서가 옳다.

메타분류

메타분류란 오로지 분류에 대한 분류로, 모든 분류의 상위 개념인 분류분류, hierarchy(계층)를 가지는 모든 분류의 가장 상위레벨인 주제분류와 그 한단계 아래인 인문사회분류 등이 그 예이다. 하지만 인문사회분류 와 같은 단계에 있는 과학기술분류, 철학분류 등은 현재로서는 메타분류의 형식을 취하고 있지 않다. 이것은 분류 과정에서의 필요성에 따라서 조정될 수 있을 것이다.

hierarchy가 있는 분류

주제분류 밑으로의 모든 분류는 주제분류에 종속된다. 따라서 트리 형태의 hierarchy(계층)을 가진다.

hierarchy가 없는 분류

Faq분류, 매뉴얼분류, 매크로분류, 모인모인분류, 사전분류, 설문조사분류, 위키위키분류, 인물분류, 지도분류, 책분류, 홈페이지분류 와 같은 것은 주제분류 아래에 종속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러한 분류가 붙은 페이지에는 해당 내용에 따라서 주제분류에 해당하는 분류를 동시에 달 수 있다.

분류 페이지의 일반적 모델

과학기술분류

과학 및 기술 관련 분류. 
완전한 리스트는 제목을 클릭. 

  * 디자인분류 : 디자인 및 유저인터페이스 
  * 의학분류 
  * 컴퓨터분류 

-------------------------------------------------
주제분류 분류분류 

일단 앞머리에 해당 분류가 담을 내용들에 대한 간략한 설명을 한다. 그리고, “–분류” 페이지에서 직접적으로 각 페이지에 대한 링크를 담는 경우는 해당 페이지에 대한 간략한 설명이 있는 경우만 해당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가능하면 [분류패턴]을 이용해서 links로 자동으로 검색하는 기능을 사용하도록 한다. 특별히 시의적으로 중요한 페이지, 또 회원들의 주의가 요망되는 페이지일 경우 간략한 설명과 함께 “–분류” 페이지 속에 링크를 달 수 있으며, 이때는 해당 분류가 '지도기능'과 '분류기능'을 동시에 수행한다고 볼 수 있다. 모든 역링크 페이지를 명시적으로 포함시키려면, 지속적인 업그레이드가 필요하고 번거로운 작업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마지막에 밑줄을 긋고 이 페이지가 속하는 분류를 나열할 때는 격자괄호를 쓰고, 순서는 작은 분류에서 큰 분류로 나아가도록 한다.

see also [분류와지도] [지도패턴]

분류패턴과 SeeAlso

'참고' SeeAlso와 분류는 다릅니다. SeeAlso 뒤에 –분류 를 추가하는 우를 범하지 마세요. SeeAlso는 실제 내용이 있는 페이지에 대한 수평적, 논리적, 개념적 연결인 반면, 맨 밑의 밑줄 다음에 나오는 –분류는 사실상 내용이 거의 없는 형식적 페이지(가서 links를 클릭해야 하는)에 대한 링크입니다.

'질문' 그 두가지가 논리적으로 어떻게 다른지는 이해가 되는데 기능적/결과적으로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요? 가령 분류패턴식으로 하면 링크 걸린 두 개의 페이지 중 “링크보기”를 직접 실행한 페이지의 '역링크만'(즉 바로 그 페이지만의 상위링크가) 나타나고, see also식으로 하면 그 경우 두 개의 페이지 어느 쪽에서 “링크보기”를 실행하든지에 상관없이 상호링크되어 나타나는 거고 그런가요?

'답변' SeeAlso 경우 “링크보기”사용은 패턴화되어 있지 않습니다. 기능적으로나 결과적으로도 (분류패턴을 사용 안하는) see also와 분류패턴은 완연히 다릅니다. 분류패턴에서는 거의 공백의 페이지들이 “–분류”로 존재합니다. 이게 “중간자” 역할을 해 줍니다. see also는 기능적으로 어떤 일관된 논리적 계층 구조를 적용하지 않습니다. 그냥 실질 컨텐트간의 링크 연결일 뿐입니다. 물론 see also에 –분류를 써 놓은 “단순 위치 이동”의 경우를 말씀하신다면 실질적인 차이는 전혀 없습니다. 하지만 분류를 see also와 구분해 놓는 시각적 차이에서 오는 이득이 있습니다. 즉, 내용에 대한 연결은 see also를 쓰고, –분류라는 빈 페이지에 대한 링크는 페이지 맨 아래에 따로 분리해서 쓰는 것이죠.

분류표시의 위치

분류정보는 see also와 달리 선행 정보를 줄 수 있다. 어떤 글을 읽기 전에 그 글이 어떤 논리적 분류에 속하는지를 알게되면 도움이 된다. 하지만 see also 경우는 글을 읽고 나서야 비로소 그 링크의 의미가 이해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분류 정보를 페이지의 앞머리에 달고, see also를 맨 뒤에 다는 것이 읽는 사람에게 더 편하다. 하지만 관습적으로는 양자 모두 페이지 맨 아래에 달고있다.

[분류생성법]

새 분류를 만드는 (쉬운) 방법

주의사항

  • 가능하면 모든 분류는 명시적으로 –분류라는 형식을 페이지 이름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그래야 다른 페이지와 혼동되지 않는다.
  • 본문 중에서는 가능하면 –분류 페이지의 링크를 언급하지 말아야 한다. 분류를 목적으로 단 것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역링크]에 의해서 분류에 포함되게 된다. 이때는 현 페이지에 사용된 방식 등을 응용하여 [역링크]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 새로운 분류를 만들려고 할 때에는 일단 분류분류 페이지에서 검색을 해보아서 자신이 만들 분류가 이미 존재하는 것은 아닌지 고민해 보아야 한다.
  • 새로운 분류를 만들기 이전에 항상, '이 분류가 꼭 필요한가' 하는 것을 생각해 보아야 한다. 기존에 존재하는 분류를 이용할 수는 없는지, 꼭 특정 분류에 넣어야만 하는 것인지 등을 고민해 보아라. 특히, “기타분류”와 같은 것은 별 의미가 없다. 분류로서의 역할이 뚜렷하지 않기 때문이다.

—- [위키위키분류]

ba_d0_b7_f9_c6_d0_c5_cf.txt · Last modified: 2018/07/18 14:10 by 127.0.0.1